안녕하세요 혀뉍니다.
도커를 사용하다보면 컨테이너를 시작하고 종료할때가 많은데 이때 도커를 build하면 매번 임의의 컨테이너가 생성되어 실행됩니다.
docker ps -a
우선 docker ps -a 명령어로 컨테이너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, 가장 최근에 사용된게 4227dc24098a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새로 빌드를 해볼게요
docker build . -t spring4shell && docker run -p 8080:8080 spring4shell
docker build & run 명령어를 실행시켜주면 됩니다. (spring4shell은 제가 만든거라 무시해도 됩니다.! )
다시 docker ps -a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아까의 컨테이너 위에 새로 생긴게 보이시나요?? 빌드를 통해 새로운 컨테이너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빌드한 컨테이너로 작업을 하다가 컨테이너가 중지되었을때, 다시 빌드를 하면 기존의 컨테이너로 복구되지 않아요.
새로운 컨테이너가 생성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합니다!
기존의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싶다면!
우선 사용중인 컨테이너를 중지시켜줍니다. ( 컨테이너가 up 상태가 아니라면 패스! )
그후 원하는 컨테이너를 실행시켜주면 됩니다.
docker stop [container id]
docker start [container id]
참고로 container id는 위의 docker ps -a명령어의 첫 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!
위와 같이 실행된다면 docker가 잘 실행되고 잘 중지된겁니다.
이때 은근 많은분들이 모르시던데, docker stop b3까지 적고 탭키 누르면 자동완성돼요!
그렇다면 다시 ps -a로 확인해볼게요
제가 실행한 컨테이너가 6초전에 up이 되었다고 상태가 뜬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매번 빌드하지 않고 사용하던 컨테이너를 활용할 수 있다는점. 이걸 왜 늦게알았는지... 허헛
'개발환경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리눅스 docker에서 springframework 버전 수정하는 방법 (0) | 2023.06.26 |
---|---|
[docker] 리눅스 docker container 접속 방법 (0) | 2023.06.24 |